종합소득세 신고기간, 방법, 대상은? - 돈 되는 정보

5월은 종합소득세를 신고하는 달입니다. 그런데 만약 제때 신고를 하지 않으면 불이익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웬만하면 5월내에 하는 것이 좋습니다.

 

이렇다보니, 간이과세자 또는 일반과세자들이 가장 싫어하는 달이라고 한다면 5월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. 이는 사업자를 낸 분들이라면 모두가 피하고 싶은 달이겠네요.

 

요즘은 워낙 시대가 좋아져서 AI가 혜택들까지 찾아내서 종합소득세를 계산해준다고 하니,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해 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.

 

이러한 서비스 중에 직접 신고를 해주는 것들도 있는데요. 대략 가격은 3만 원대로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부담이 없습니다. 세무사에게 맡길 경우 최소 6만원에서 10만 원 이상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.

 

그러므로 시간을 단축하고, 크게 신경 쓰지 않으며, 저렴한 비용으로 해결하고 싶은 분들은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.

 

종합소득세 무료 확인 서비스의 경우 금방 종료될 수 있기 때문에 기회가 왔을 때 바로 해보시는 것을 권장합니다.

 

 

1. 종합소득세 신고기간


종합소득세 신고방법

종합소득세 신고기간은 51일부터 531일까지입니다. 성실신고확인서 제출자는 630일까지 연장이 됩니다. 참고로 신고 기한이 토요일이나 공휴일에 해당된다면 그 다음날 신고를 해도 괜찮습니다.

 

 

2.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종류


종합소득세 신고방법

① 세무사

종합소득세 신고방법 중에서 가장 간단한 방법은 아무래도 세무사에게 맡기는 것인데요. 연매출이 많고, 제출할 서류들이 많다면 아무래도 세무사를 통해 하는 것이 깔끔하긴 합니다.

 

② 홈택스 or 손택스

본인이 직접 하셔도 되는데요. 홈페이지의 경우 홈택스를 이용하고 스마트폰 앱의 경우 손택스를 설치하셔서 진행하시면 됩니다. 그러나 처음 하는 분들은 어려울 수 있으니, 유튜브 같은 것을 참고 하시는 게 좋습니다.

 

③ 대행서비스

위에서도 살짝 언급했듯이 간단한 정보만 입력을 하면 대신 종합소득세를 신고해 주는 서비스도 있는데요.

 

현재 가장 유명한 사이트의 경우 2가지가 있는데요. 하나는 쎔(SSEM)이고, 다른 하나는 삼쩜삼입니다. 각각 차이가 있기 때문에 잘 비교해보고 본인에게 맞는 것을 선택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.

 

 

3. 신고 대상


종합소득세 신고방법

종합소득세 신고대상의 경우 연말정산을 하지 않은 중도 퇴사자를 비롯해 금융 소득이 2천만 원 이상 발생한 사람입니다. 또한 연금 지급액이 1,200만원을 초과하거나 부동산 임대소득이 있어도 신고를 해야 합니다.

 

이 외에도 3.3% 사업소득이 있는 경우에도 신고를 해야 하는데요. 사업자를 내지 않았어도 주기적으로 일을 해서 수입이 발생한다면 여기에 해당합니다. 예를 들어 고수익 블로거, 유튜버, 보험모집인 등이 속합니다.

  •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
  •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
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